LeetCode의 269번째 문제인 Alien Dictionary를 함께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문제
영어 알파벳을 사용하는 새로운 외계어 언어가 있습니다. 그러나 글자들의 순서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외계어 사전으로 부터 문자열의 목록인 words
가 주어집니다.
이제 words
내의 문자열은 새로운 언어의 규칙에 따라 사전식(lexicographically)으로 정렬되었다고 주장합니다.
이 주장이 틀린 경우, 즉 words
내의 문자열의 배열이 어떤 글자들의 순서와도 일치하지 않는 경우 ""
을 반환하시오.
그렇지 않으면, 새로운 언어의 규칙에 따라 사전식으로 오름차순 정렬된 고유한 글자들로 이뤄진 문자열로 반환하시오. 여러 해결책이 있는 경우 그 중 하나를 반환합니다.
예제
Input: words = ["wrt","wrf","er","ett","rftt"]
Output: "wertf"
Input: words = ["z","x"]
Output: "zx"
Input: words = ["z","x","z"]
Output: ""
풀이 1
역시 Hard 난이도가 문제라서 문제 설명만 읽어서는 어떻게 풀어야할지 아이디어가 떠오르지 않네요…
첫 번째 예제에 주어진 단어들을 가지고 같이 차근차근 생각을 해보겠습니다. 이 단어들은 외계인 언어의 규칙에 따라서 이미 사전식으로 정렬이 되어 있다고 합니다.
words = ["wrt", "wrf", "er", "ett", "rftt"]
우선 첫 번째 단어와 두 번째 단어를 비교해보면, wr
은 공통되기 때문에 t
가 r
보다 먼저 와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_
words[0] = wrt
_
words[1] = wrf
t -> f
두 번째 단어와 세 번째 단어를 비교해보면, 공통되는 부분이 하나도 없으므로 w
가 e
보다 먼저 와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_
words[1] = wrf
_
words[2] = er
w -> e
세 번째 단어와 네 번째 단어를 비교해보면, e
가 공통되기 때문에 r
이 t
보다 먼저 와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_
words[2] = er
_
words[3] = ett
r -> t
네 번째 단어와 마지막 단어를 비교해보면, 공통되는 부분이 하나도 없으므로 e
가 r
보다 먼저 와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_
words[3] = ett
_
words[4] = rftt
e -> r
지금까지 구한 5개의 관계를 엮어보니 외계인 언어에서 글자들의 순서가 파악이 되네요.
t -> f
w -> e
r -> t
e -> r
w -> e -> r -> t -> f
각 글자을 정점(node, vertex)로 보고, 글자 간의 선후 관계를 간선(edge)로 보면 이 문제는 전형적인 그래프(graph) 문제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에서 단어들이 사전식 오름차순 정렬되어 않으면 빈문자열을 반환하라고 했죠?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경계 조건(edge case)를 고려해야 합니다.
우선, 단어 간에 완전히 포함되는 경우를 들 수 있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앞의 단어가 뒤의 단어 안에 포함되는 경우는 상관이 없습니다.
ab
abcd
반대로 뒤의 앞의 단어 안에 뒤의 단어가 포함이 되는 경우는 일어나면 안 됩니다.
abcd
ab
두 번째는 그래프 안에서 순환(cycle)이 일어나는 경우입니다. 여기서 순환이란 그래프를 순회할 때 하나의 노드를 두 번 이상 거치게 되는 상황을 의미하는데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단어들이 주어지면 어떨까요?
a
b
ac
a
와 b
는 양방향으로 간선이 생겨서 어떤 것이 먼저 나와야하는지 알 수 없습니다.
a -> b
b <- a
그럼 두 가지 경계 조건을 고려하여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을 구현해보겠습니다. 집합(Set) 자료구조를 사용하면 현재 순회 중인 노드(traversing)와 이미 순회를 마친 노드(finished)를 효과적으로 추적할 수 있습니다.
class Solution:
def alienOrder(self, words: List[str]) -> str:
graph = {ch: set() for ch in set("".join(words))}
for i in range(1, len(words)):
prev, curr = words[i - 1], words[i]
found = False
for p, c in zip(prev, curr):
if p != c:
if p not in graph:
graph[p] = set()
graph[p].add(c)
found = True
break
if not found and len(prev) > len(curr):
return ""
output = []
visited, traversing = set(), set()
def dfs(node):
if node in traversing:
return False
if node in visited:
return True
traversing.add(node)
for adj in graph[node]:
if not dfs(adj):
return False
traversing.remove(node)
output.append(node)
visited.add(node)
return True
for node in graph:
if not dfs(node):
return ""
return "".join(output)[::-1]
n
을 총 글자의 개수, e
를 글자 간의 관계라고 했을 때, 깊이 우선 탐색을 하는 이 풀이의 시간 복잡도는 O(n + e)
가 됩니다.
반면에 공간 복잡도는 그래프를 표현하는 인접 리스트의 메모리 사용량이 노드의 수와 간선의 합에 비례해서 커지므로 O(n + e)
가 되겠습니다.
풀이 2
앞에서 작성한 긴 파이썬 코드가 상당히 길죠? 그래프 탐색을 하는 부분을 살짝 다듬어 보겠습니다.
우선 functools
내장 모듈의 @cache
데코레이터를 사용하면, finished
집합을 직접 관리해주지 않아도 됩니다.
그리고 all()
내장 함수를 활용하면 코드를 좀 더 간결하게 만들어줄 수 있습니다.
from functools import cache
class Solution:
def alienOrder(self, words: List[str]) -> str:
graph = {ch: set() for ch in set("".join(words))}
for i in range(1, len(words)):
prev, curr = words[i - 1], words[i]
found = False
for p, c in zip(prev, curr):
if p != c:
if p not in graph:
graph[p] = set()
graph[p].add(c)
found = True
break
if not found and len(prev) > len(curr):
return ""
output = []
traversing = set()
@cache
def dfs(node):
if node in traversing:
return False
traversing.add(node)
result = all(dfs(adj) for adj in graph[node])
traversing.remove(node)
output.append(node)
return result
for node in graph:
if not dfs(node):
return ""
return "".join(output)[::-1]
메모이제이션(memoization)을 위해서 재귀 함수에 @cache
데코레이터를 붙여준 부분을 주목하세요.
이렇게 각 글자의 방문 여부를 기억해두면 해당 글자부터 다시 순회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불필요한 연산을 대폭 줄일 수 있습니다.
마치면서
이 문제가 너무 어려우셨다면 비슷하지만 좀 더 쉬운 문제인 Course Schedule도 풀어보시라고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