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Reverse Linked List

LeetCode의 206번째 문제인 Reverse Linked List를 함께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문제

링크드 리스트가 주어졌을 때, 이 링크드 리스트 내의 노드를 역순으로 바꾼 후 반환하라

예제

  • 입력
1->2->3->4->5->null
  • 결과
5->4->3->2->1->null

풀이 1

이 문제는 후입선출(LIFO, Last In First Out)의 특성을 가진 스택(Stack)이라는 자료구조를 이용하면 어렵지 않게 풀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스택에는 데이터를 넣은 순서의 반대로 원소를 꺼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먼저 넣은 데이터가 나중에 나오고, 나중에 넣은 데이터가 먼저 나오니 링크드 리스트를 거꾸로 돌일 때 매우 적합한 자료구조가 아닐 수 없겠죠? 우리는 단순히 루프를 돌며 주어진 링크드 리스트의 각 노드를 스택에 추가한 후에, 다시 루프를 돌면서 이번에는 각 노드를 스택에서 꺼내어 링크드 리스트로 이어주기만 하면 됩니다.

먼저 문제에서 주어진 링크드 리스트의 모든 노드를 순서대로 스택에 넣어보면 다음과 같은 모습이 될 것입니다.

1->2->3->4->5->null

stack: [1, 2, 3, 4, 5]

다음으로 dummy 노드를 하나 생성하겠습니다. 여기서 이 dummy 노드에 어떤 값을 저장하느냐는 중요하지 않으며 next 포인터에는 이제부터 만들어 낼 뒤짚어진 링크드의 헤드(head)를 저장합니다.

이렇게 dummy 노드를 사용하면 인자로 null이 넘어오는 경우와 같은 경계 사례(edge case)를 처리하기가 쉬워지기 마지막에 결과값으로 dummy.next를 반환하면 되기 때문에 링크드 리스트를 다룰 때 자주 사용되는 코딩 기법입니다. 맨 처음에는 아직까지 만들어낸 링크드 리스트가 없기 때문에 dummy 노드가 다음 노드로 null을 가리키도록 하겠습니다.

dummy->null

이제 스택에서 가장 마지막에 추가된 노드 5를 꺼냅니다. 이 노드는 원래 링크드 리스트에서 마지막 노드였겠지만, 결과로 반환하는 링크드 리스트에서는 제일 첫 번째 노드가 되야하죠? 따라서 dummy 노드의 next 포인터를 변경하여 이 노드 5를 다음 노드로 가리키도록 해줍니다. 노드 5는 원래 링크드 리스드에서 마지막 노드였으므로 이 시점에는 여전히 null을 다음 노드로 가리키고 있을 것 입니다.

stack: [1, 2, 3, 4, 5]
pop 5

dummy->5->null

이번에는 마지막에서 두 번째로 추가되었던 노드 4를 스택에서 꺼냅니다. 그리고 노드 5next 포인터를 변경하여 이 노드 4를 다음 노드로 가리키도록 해줍니다. 노드 4는 원래 링크드 리스드에서 마지막에서 두 번째에 위치했으므로 이 시점에는 여전히 노드 5를 가리키고 있을 것 입니다.

stack: [1, 2, 3, 4]
pop 4

dummy->5->4
        <-

다음으로 마지막에서 세 번째로 스택에 추가되었던 노드 3을 제거합니다. 그리고 노드 4next 포인터를 변경하여 다음 노드로 노드 3을 가리키도록 해줍니다. 마찬가지로 노드 3은 여전히 노드 4를 다음 노드로 가리키고 있겠죠?

stack: [1, 2, 3]
pop 3

dummy->5->4->3
           <-

같은 작업을 노드 2를 상대로도 진행합니다.

stack: [1, 2]
pop 2

dummy->5->4->3->2
              <-

같은 작업을 노드 1를 상대로도 진행합니다.

stack: [1]
pop 1

dummy->5->4->3->2->1
                 <-

결국 마지막에는 스택에서 모든 노드가 제거되어 스택이 비게될 것입니다. 이 때 뒤짚어진 링크드 리스트의 마지막 노드인 노드 1은 아직도 노드 2를 가리키고 있을텐데요. 그러므로 next 포인터를 변경하여 null을 가리키도록 해줘야합니다.

stack: []

dummy->5->4->3->2->1->null

이 스택을 사용하는 알고리즘을 코드로 구현해볼까요?

class Solution:
    def reverseList(self, head: Optional[ListNode]) -> Optional[ListNode]:
        nodes = []
        node = head
        while node:
            nodes.append(node)
            node = node.next

        dummy = ListNode(-1)
        node = dummy
        while nodes:
            node.next = nodes.pop()
            node = node.next
        node.next = None
        return dummy.next

링크드 리스트의 노드 수를 n이라고 했을 때, 우리는 스택에 모든 노드를 넣었다가 빼야하므로 이 풀이의 공간 복잡도는 O(n)입니다. 스택에 모든 노드를 넣을 때 O(n) 시간을 소모하고, 스택에 모든 노드를 뺄 때 또 O(n)의 시간을 소모하므로 결국 시간 복잡도는 O(2n) = O(n)이 되겠습니다.

풀이 2

링크드 리스트를 거꾸로 뒤짚으면 각 노드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나야할까요?

링크드 리스트 자료구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별도로 다루었으니 참고바랍니다.

일반적으로 링크드 리스트의 노드는 데이터(val)와 다음 노드의 레퍼런스(next)를 저장하고 있습니다. 이 문제에서 우리는 데이터에는 손 댈 생각이 없고 단지 다음 노드의 레퍼런스만 이전 노드로 바꿔주면 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링크드 리스트에서 3을 담고있는 노드의 next 필드의 값은 기존에 4를 담고있는 노드에서 2를 남고있는 노드로 변경이되야 합니다.

Before: 2--->3--->4
After:  2<---3-x->4

당연히 이 next 필드의 갱신 작업은 링크드 리스트의 첫 번째 노드부터 마지막 노드까지 이동하면서 모든 노드에서 일어나야하겠죠? 그리고 마지막 노드까지 작업을 마친 후에는 첫 번째 노드 대신에 마지막 노드가 새로운 링크드 리스트의 헤드(head)가 되므로 마지막 노드를 반환해야겠습니다.

이 알고리즘을 머리 속으로 상상하는 것은 별로 어렵지 않은데 실제로 코드로 구현을 하려고 하면 생각보다 쉽지 않다는 것을 깨닫게 되는데요. 어떤 노드로 넘어오면 다음 노드는 next 필드를 통해 접근할 있지만, 이전 노드는 접근할 길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링크드 포인터를 순회할 때 현재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curr) 뿐만 아니라 이전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prev)까지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문제에서 예제로 주어진 링크드 리스트에 이 알고리즘을 한 번 적용해볼까요?

null  1->2->3->4->5->null
p     c
null<-1->2->3->4->5->null
      p  c
null<-1<-2->3->4->5->null
         p  c
null<-1<-2<-3->4->5->null
            p  c
null<-1<-2<-3<-4->5->null
               p  c
null<-1<-2<-3<-4<-5  null
                  p  c

그럼 이 알고리즘을 그대로 코드로 구현해보겠습니다.

class Solution:
    def reverseList(self, head: Optional[ListNode]) -> Optional[ListNode]:
        prev, curr = None, head
        while curr:
            temp_next = curr.next
            curr.next = prev
            prev, curr = curr, temp_next
        return prev

임수 변수를 사용하지 않고, while 문을 이렇게 한 줄로 작성할 수도 있겠네요.

class Solution:
    def reverseList(self, head: Optional[ListNode]) -> Optional[ListNode]:
        prev, curr = None, head
        while curr:
            curr.next, prev, curr = prev, curr, curr.next
        return prev

동일한 알고리즘을 자바스크립트로 구현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function reverseList(head: ListNode | null): ListNode | null {
  let curr = head;
  let prev = null;
  while (curr) {
    let next = curr.next;
    curr.next = prev;
    prev = curr;
    curr = next;
  }
  return prev;
}

첫 번째로 주의할 부분은 현재 노드의 next 필드를 이전 노드의 래퍼런스로 바로 덮어쓰기를 해버리면 다음 노드에서 계속해서 next 필드 갱신 작업을 진행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기존에 저장되어 있던 래퍼런스를 임시 변수에 저장을 해두고, 현재 노드를 이 임시 변수로 갱신해야줘야 다음 단계에서 다음 노드를 상대로 next 필드 갱신 작업을 이어나갈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 주의할 부분은 링크드 리스트 내의 모든 노드를 상대로 next 필드 갱신 작업을 마치면 curr 포인터가 결국 null을 가리키게 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curr 포인터 대신에 마지막 노드를 가리키고 있는 prev 포인터를 반환해야 합니다.

이 풀이의 시간 복잡도는 주어진 링크드 리스트를 한 번 순회를 하므로 O(n)입니다. 반면 공간 복잡도는 두 개의 포인터만을 사용하므로 O(1)이 됩니다.

풀이 3

이 문제를 반복 알고리즘이 대신에 재귀 알고리즘으로는 해결할 수 없을까요?

재귀적으로 문제에 접근할 때는 주어진 문제가 여러 개의 작은 하위 문제로 쪼개서 해결할 수 있는지 보면 도움이 됩니다.

링크드 리스트를 인자로 받아 노드를 역순으로 바꿔주는 함수를 F()라고 가정하면 아래와 같은 모습으로 해당 함수를 재귀 호출할 수 있을 것입니다.

F(1->2->3->4->5->null)
    1-> F(2->3->4->5->null)
        2-> F(3->4->5->null)
            3-> F(4->5->null)
                4-> F(5->null)

기저 사례(base case)는 하나의 노드로 이뤄진 링크드 리스트가 입력으로 들어왔을 때인데요. 노드 하나짜리 링크드 리스트는 거꾸로 돌려도 동일하기 때문에 해당 링크드 리스트를 그대로 반환하면 됩니다.

기저 사례에서 재귀 함수가 반환하기 시작하면 이번에는 콜 스택을 거슬러 올라가면서 기존 헤드(head) 노드와 이미 거꾸로 돌려진 링크드 리스트를 다시 잘 연결해줘야 합니다.

            4 🖇️ 5->null
        3 🖇️ 5->4->null
    2 🖇️ 5->4->3->null
1 🖇️ 5->4->3->2->null

2를 담고 있는 노드와 5->4->3->null 링크드 리스트를 어떻게 연결해줄지 생각해봅시다.

현재 이 둘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2  5->4->3->null
 ------->

2를 담고 있는 노드의 next 포인터는 여전히 3을 담고 있는 노드의 레퍼런스를 저장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거꾸로 돌아간 링크드 리스트의 마지막 노드 3next 포인터에는 null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우리는 이 둘이 다음과 같은 형태로 연결이 변경되기를 원합니다.

 <-------
2  5->4->3
 -> null

즉, 3을 담고 있는 노드는 2를 담고 있는 노드를 가리키야 하며, 2를 담고 있는 노드는 null을 가리켜야 합니다. 이렇게 연결을 변경해주면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은 형태가 될 것입니다.

5->4->3->2->null

마지막으로 거꾸로 돌아간 링크드 리스트의 헤드(head)인 5를 담고 있는 노드를 반환합니다.

이 재귀 프로세스를 코드로 구현해보겠습니다.

class Solution:
    def reverseList(self, head: Optional[ListNode]) -> Optional[ListNode]:
        if not head or not head.next:
            return head
        new_tail = head.next
        new_head = self.reverseList(new_tail)
        new_tail.next = head
        head.next = None
        return new_head

코드의 마지막 부분에 대한 부연 설명을 좀 드리자면…

new_tail에는 head가 가리키는 링크드 리스트를 거꾸로 돌리기 전에 첫 번째 노드, 즉 해당 링크드 리스트를 거꾸로 돌린 후에 마지막 노드에 대한 레퍼런스가 저장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new_tailnext 포인터에 head를 할당해주면, 결과적으로 head가 거꾸로 돌아간 링크드 리스트의 맨 뒤로 붙게 됩니다.

head.next = None 부분은 head가 이제 거꾸로 돌아간 리스트의 마지막 노드가 되었으므로 다음노드로 null을 가리키도록 해주는 것입니다.

아직도 햇갈리시는 분들은 링크드 리스트가 재귀 호출을 거쳐거면서 서서히 어떻게 변해가는지에 대한 이미지를 머리 속이나 실제로 종이에 그려보시면 분명히 도움이 될 거에요. ✏️

이 재귀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는 O(n)으로 첫 번째 풀이의 반복 알고리즘과 동일합니다. 하지만 재귀 스택이 메모리리 사용량이 링크드 리스트의 노드 수에 비례하기 때문에 공간 복잡도는 O(n)으로 저하됩니다.

마치면서

두 번째 풀이가 시간과 공간 복잡도 측면에서 최적의 알고리즘이지만 간혹 면접관이 같은 문제를 재귀로도 풀라고 할 때가 있어서 세 번째 풀이도 다뤄 보았습니다. 재귀 알고리즘은 한 번에 이해가 어려우시더라도 이는 지극히 자연스러운 것이니 너무 좌절하시거나 스트레스 받으시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