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Two Sum

LeetCode의 1번째 문제인 Two Sum 문제를 함께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문제

정수 값이 담긴 배열 nums와 특정한 정수 target이 주어졌다. nums 배열 안에 있는 숫자 중에서 두 개의 숫자를 더했을 때, target 값과 동일해지는 두 숫자의 배열 인덱스를 리턴하라.

예를 들어, nums[2, 7, 11, 15]이고 target9라면 [0, 1]을 리턴해야 한다. 왜냐하면, index 0에 위차한 숫자는 2이고 index 1에 위치한 숫자는 7이기 때문에 이 두 수를 더하면 target9와 일치하기 때문이다.

배열 안에는 정답이 하나(두 개의 숫자)만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하며, 같은 숫자를 두 번 사용할 수 없다.

풀이 1: 모든 경우의 수

먼저 가장 무식할 수도 있지만 직관적으로 방법으로 이 문제에 접근해보겠습니다. nums로 부터 만들 수 있는 모든 경우의 두 수의 조합을 만든 후 더해서 target과 비교하는 것입니다. 즉, 모든 경우의 수의 [i, j] 인덱스 쌍에 대해 nums[i] + nums[j] = target을 만족하는 경우를 찾는 것입니다.

파이썬으로 구현해보겠습니다.

class Solution:
  def twoSum(self, nums: List[int], target: int) -> List[int]:
    size = len(nums)
    for i in range(size - 1):
      for j in range(i + 1, size):
        if nums[i] + nums[j] == target:
          return [i, j]

자바로 구현해보겠습니다.

class Solution {
  public int[] twoSum(int[] nums, int target) {
    int size = nums.length;
    for (int i = 0; i < size - 1; i++) {
      for (int j = i + 1; j < size; j++) {
        if (nums[i] + nums[j] == target)
          return new int[]{i, j};
      }
    }
    return null;
  }
}

이 알고리즘은 이중 루프를 사용하기 때문에, O(n^2)의 시간 복잡도를 가지게 되며, 고정된 수의 변수만 사용하기 때문에, O(1)의 공간 복잡도를 가지게 됩니다.

풀이 2: 해시 테이블

이 문제를 인덱스 i 입장에서 보면, 단순히 배열에서 target - nums[i]를 찾는 문제가 됩니다.

다음과 같이 간단한 입력값을 가지고 한 번 생각해보겠습니다.

nums = [5, 7, 11, 2, 9]
target = 9

예를 들면, nums 배열의 첫 번째 값은 5이므로, 배열에 4가 존재하는지 찾습니다.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nums 배열의 두 번째 값은 7이므로, 배열에 2가 존재하는지 찾습니다. 있습니다! index 3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좀 더, 일반화를 해보면, 인덱스가 i일 때,

  1. 배열에 target - nums[i] 값이 존재하는지 알아냅니다.
  2. 만약 존재하다면 그 값에 대응하는 인덱스 j를 알아냅니다.

여기서 해시 테이블을 사용하면 위 두개의 과정을 매우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배열의 각 값과 그에 대응하는 인덱스를 해시 테이블에 미리 저장해놓으면 됩니다.

인덱스
50
71
112
23
94

배열에서 값을 찾으려면 모든 값을 하나씩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O(n)의 시간이 소모됩니다. 하지만 해시 테이블에서 값을 찾는데는 O(1)의 시간이 소모되기 때문에 배열의 크기와 상관없이 항상 빠르게 검색이 가능합니다.

한가지 주의할 점은 Hast Table에 target - nums[i]의 존재 여부를 체크할 때 동일 인덱스를 두 번 쓰지 않도록 신경써줘야 한다는 것입니다.

파이썬으로 구현해보겠습니다.

class Solution:
  def twoSum(self, nums: List[int], target: int) -> List[int]:
    indices = {num: idx for idx, num in enumerate(nums)}

    for i, v in enumerate(nums):
      complement = target - v
      if complement in indices and indices[complement] != i:
        j = indices[complement]
        return [i, j]

자바로 구현해보겠습니다.

class Solution {
    public int[] twoSum(int[] nums, int target) {
        int size = nums.length;

        Map<Integer, Integer> indices = new HashMap<>();
        for (int i = 0; i < size; i++) {
            indices.put(nums[i], i);
        }

        for (int i = 0; i < size; i++) {
            int complement = target - nums[i];
            if (indices.containsKey(complement) && indices.get(complement) != i) {
                int j = indices.get(complement);
                return new int[]{i, j};
            }
        }
        return null;
    }
}

이 알고리즘은 해시 테이블에 값과 인덱스의 맵핑을 저장하기 위해서 한 번 그리고 해시 테이블에서 값을 검색하기 위해서 한 번, 총 두 개의 루프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O(n) 시간 복잡도를 가집니다. Hash Talbe의 크기는 배열의 크기와 비례해서 증가히기 때문에 공간 복잡도도 O(n) 입니다.

추가 최적화

위 알고리즘을 조금만 더 생각을 해보면 한 번의 루프로도 구현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루프에서 해시 테이블에 검색과 저장을 연이어서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파이썬으로 구현해보겠습니다.

class Solution:
  def twoSum(self, nums: List[int], target: int) -> List[int]:
    indices = {}
    for i, v in enumerate(nums):
      complement = target - v
      if complement in indices:
        j = indices[complement]
        return [j, i]
      indices[v] = i

자바로 구현해보겠습니다.

class Solution {
    public int[] twoSum(int[] nums, int target) {
        Map<Integer, Integer> indices = new HashMap<>();
        for (int i = 0; i < nums.length; i++) {
            int complement = target - nums[i];
            if (indices.containsKey(complement)) {
                int j = indices.get(complement);
                return new int[]{j, i};
            }
            indices.put(nums[i], i);
        }
        return null;
    }
}

자바스크립트로 구현해보겠습니다.

function twoSum(nums: number[], target: number): number[] {
  const indices = {};
  for (let i = 0; i < nums.length; i++) {
    const complement = target - nums[i];
    if (complement in indices) {
      const j = indices[complement];
      return [j, i];
    }
    indices[nums[i]] = i;
  }
}

코드가 더욱 효율적으로 되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코드보다 더 간결해졌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인덱스 i에 대해서 인덱스 j는 항상 i보다 이전 위치를 기리키기 때문에, 리턴 순서가 [i, j]에서 [j, i]로 변경되었음에 유의하세요.